건축학과
동창회원
커뮤니티
서울대 공과대학 건축학과 동창회
1964년 金熙春 교수(고공15회)가 동창회장을 맡으면서 정기적으로 신입생 환영회를 개최하는 등 비로소 동창회 활동이 활발해지기 시작하였다. 1976년 11월 제1회 ‘홈커밍데이’가 시작되었고 1977년 4월 ‘동창회보’ 제1권 1호가 발간되었다.
서울대 공과대학 건축학과 동창회
1964년 金熙春 교수(고공15회)가 동창회장을 맡으면서 정기적으로 신입생 환영회를 개최하는 등 비로소 동창회 활동이 활발해지기 시작하였다. 1976년 11월 제1회 ‘홈커밍데이’가 시작되었고 1977년 4월 ‘동창회보’ 제1권 1호가 발간되었다.
서울대 공과대학 건축학과 동창회
1964년 金熙春 교수(고공15회)가 동창회장을 맡으면서 정기적으로 신입생 환영회를 개최하는 등 비로소 동창회 활동이 활발해지기 시작하였다. 1976년 11월 제1회 ‘홈커밍데이’가 시작되었고 1977년 4월 ‘동창회보’ 제1권 1호가 발간되었다.
서울대 공과대학 건축학과 동창회
1964년 金熙春 교수(고공15회)가 동창회장을 맡으면서 정기적으로 신입생 환영회를 개최하는 등 비로소 동창회 활동이 활발해지기 시작하였다. 1976년 11월 제1회 ‘홈커밍데이’가 시작되었고 1977년 4월 ‘동창회보’ 제1권 1호가 발간되었다.
서울대 공과대학 건축학과 동창회
1964년 金熙春 교수(고공15회)가 동창회장을 맡으면서 정기적으로 신입생 환영회를 개최하는 등 비로소 동창회 활동이 활발해지기 시작하였다. 1976년 11월 제1회 ‘홈커밍데이’가 시작되었고 1977년 4월 ‘동창회보’ 제1권 1호가 발간되었다.
인사말
존경하는 원로 교수님과 명예회장님, 건축계를 빛내주신 선배님들, 그리고 사랑하는 동기와 후배 여러분.
제27대 동창회장으로 선임된 정영균입니다. 저는 39회 81학번과 석사 85학번이며,
현재 코스닥 상장기업인 희림건축의 대표이사 회장으로 재직하고 있습니다.
우리 경제와, 특히 건축계가 유독 어려운 시기에 동창회장이라는 중책을 맡게 되어 깊은 책임감을 느끼며,
여러분의 신뢰와 지지로 이 자리에 설 수 있었음을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먼저, 지난 임기 동안 동창회의 발전을 위해 헌신해 주신 전임 박성준 회장님과 집행부 여러분의 노고에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동창회 뉴스